산사태위험지관리시스템
예전 FGIS구축사업시 확장사업으로 설계한 산사태 정의와 분석시 알고리즘과 시스템 설계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개요 :
|
1. 산사태 유형
① Slump 언덕배기가 내려앉는 대 규모의 현상도 빈번히 발생한다. 방향으로 미끄러지면서 흘러내리는 현상이다. 이때 이동 물질은 유동 중에 심하게 손상되거나 조각조각 부서진다. 이런 파편들로 인해서 추가적인 피해가 발생하는 것이 특징이다. 크기 때문에 돌덩어리나 나무 혹은 자동차를 움직일 정도이다. 이탈리아에서 발생했던 Vaiont 댐 붕괴사건의 원인으로서 이 사건은 댐 주변의 계곡에서 수만 톤의 암석이 댐으로 떨어져 수위가 대략 100m 나 상승하여 약 3000명의 사상자를 냈던 사건이다. 으로 이루어진 제주도에서는 주상절리가 전도파괴 되는 양상을 보인다 주로 집중호우가 원인이고 얼마전 98년 여름에 발생했던 산사태들의 상당수가 이 경우에 해당한다. |
2. 경사위험지분석
경사지 위험도를 생성합니다. 산사태위험지판정기준표에서 지질도(모암,토심) 를 제외한 산림상태, 경사도, 경사길이,경사위치,
사면형으로 위험도 생성
(1)평균경사 http://cafe.naver.com/gisapplication/47
경사면은 고도의 변화율인 기울기(slope)와 최대 고도변화가 일어나는 사면방향(aspect)의 두가지 요소를 가지고 있습니다.
기울기는 퍼센트 혹은 각도로 표시되고 사면 방향은 방위각으로 표시된다. 경사와 방위의 계산은 격자형 수치고도자료에서
하나의 격자를 중심으로 3X3 크기의 윈도(Window)를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면서 계산을 진행
(2)경사방향/경사길이 (Flow Direction Grid/Slope Length)
Flow Direction Grid 방향이 된다.
Slope Length(경사길이) : 각 Cell에 대해 그 Cell의 Aspect 반대방향으로 직선상에 위치하는 능선과의 거리 |
(3)기타
Flow Accumulation Grid(집수량 그리드) (보통 precise = 200) Ridge Grid(능선 그리드) : 집수량이 0이고 인접 셀과 향이 반대방향으로 나타나는 곳 구하면 그 값이 경사길이가 된다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하여 경사길이가 없는 것으로 한다.
Slope Shape Grid(사면형태 그리드) 경사도가 증가하면 하강사면, 경사도가 감소하면 상승사면, 경사도가 같으면 평행사면으로 결정한다.
|
3. 산사태(Landslides) 위험도
산사태 위험판정인자들의 값을 계산하여 다변량해석법 등을 이용 산사태판정기준표(산림청 1998)등으로 위험등급을 구하는
방법을 GIS을 이용하여 작성하거나 새로운 수치지도의 인자를 적용하여 다양하게 예측하는 기법이 있습니다.
산사태판정기준표(산림청
1998)
산사태 위험도 등급판정표
산사태 위험도 작성
산사태 위험도 예시
산사태 물질이동경로 가시화
산사태 위험 분포도
4. 산사태위험지관리시스템 구성도
산사태 관리의 산림행정 효율화를 위하여 산사태관리 업무프로세스를 지원 할 수 있는 최적화된 통합정보시스템 개발이 요구
되는 실정으로서 축적된 산사태 관련 발생 기초자료와 산림GIS를 연계하여 산사태 예방관리를 위한 정보획득이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그림 103은 산사태위험지관리시스템의 추진 배경으로서 크게 산사태위험지 관리, 산사태 복구를 위한 지원,
산림GIS 정보와 연계한 정보시스템 개발, 산사태 예보를 위한 시스템 등의 측면에서 추진배경을 설명하고 있다.
산사태위험지관리시스템은 산사태발생지관리, 산사태예방관리, 사방댐대장관리, 사방시설대장관리, 사방지지정관리, 사방사업
관리, 사방사업보상관리, 산림유역사업관리대장관리 등의 업무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산림청, 지방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등
에서 이에 대한 자료를 입력하고 열람하는 등의 구조를 갖고 있다
기능구성도
산사태위험지관리시스템의 활용을 통하여 산림행정업무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대민 서비스 향상을 가져오며, 산사태 관련
산림정책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로의 활용 및 고품질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다. 그림은 산사태위험지관리시스템의
기대효과로서 크게
산사태관리 업무의 효율화, 과학적인 산사태 예방관리 및 피해경감, 산림지리정보와 기상정보 등을 연계한
위험지 예측과 의사결정지원 시스템으로의 활용 등이 있다.
///////////////////////////////////////////////////////////////////////////////////////////////////////
검색어
GIS
Application, GIS View, Google Earth, Google Maps, Plug-in, *.shp,
|
2011.06.09 23:10 |
좋은 자료 감사히 보았습니다.
arcgis에서 적용해볼려니 쉽지 않은 것 같습니다.
arcgis용 tool이거나 좀더 자세히 공간분석을 할 수 있는 자료는 없을까요?
산사태에서 경사지위험도 분석이 가장 까다로운 것 같습니다.
연락부탁드립니다.
![]() |
[Shp]행정동을 시도별 각각의 shp파일 [2] | 2010.09.30 | |
![]() |
Q. [GIS응용1] BizGISPro Add-On확장프로그램 | 2010.09.27 | |
악성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파일입니다.
백신 프로그램으로 치료하신 후 다시 첨부하시거나, 치료가 어려우시면
파일을 삭제하시기 바랍니다
고객님의 PC가 악성코드에 감염될 경우 시스템성능 저하,
개인정보 유출등의 피해를 입을 수 있으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산림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속가능한 산림자원 관리지침 (0) | 2011.10.25 |
---|---|
사유림 경영계획 작성요령 (0) | 2011.10.24 |
임업용산지의 활용과 임업인 자격취득 (0) | 2011.10.10 |
산지개발과 임야의 활용방안 (0) | 2011.10.10 |
토임(토지임야)과 토지의 등록전환 (0) | 2011.10.10 |